너 또한 이방인이라는 사실의 위안. Continue reading “경계인”
나는 이런 책을 읽어 왔다 – 다치바나 다카시
다치바나 다카시의 이름은 여러차례 들어봤지만 그의 책을 읽게 된 건 이번이 처음이었는데, 그는 ‘애서가’의 카테고리로 분류될 수는 없는 사람 같다고 느꼈다. 그가 추구하는 사랑의 대상은 책 자체가 아니라 평생을 걸쳐도 다다를 수 없는, 불가능한 지(知)의 총체이기 때문이다. 그러니 책을 사랑하는 사람이란 뜻의 ‘애서가’보단 ‘근면한 지식노동자’ 같은 수식어가 더 적합하겠다. Continue reading “나는 이런 책을 읽어 왔다 – 다치바나 다카시”
서평 쓰는 법
이 책을 통해 어렴풋이 알고 있던 서평과 독후감의 차이를 분명히 할 수 있었다. Continue reading “서평 쓰는 법”
김영하의 ‘읽다’
몇달전을 기점으로 나에게 일어난 기분좋은 변화의 ,말하자면, 시작을 알린 책.
이 책을 읽은지 얼마 되지 않아 독일 돌아오는 비행기에서 ‘소년이 온다’를 책 속으로 빨려 들어가듯 읽었고, ‘빨간 책방’ 포드캐스트가 눈에 들어왔고 (그것은 아마 항상 사정권에 있었지만 내가 깊은 관심을 가지지 않았던 것이리라), 본격적으로 소설에 빠져들었다. Continue reading “김영하의 ‘읽다’”
소년이 온다
한동안 잊고 지냈었는데
우리집엔 그날의 참혹함을 증언하는 책자가 하나 있었다. Continue reading “소년이 온다”